2009년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임신부, 모유수유부, 그리고 예비임신부부들이 노출될 수 있는 약물, 알코올, 흡연 등의 유해물질에 관한 교과서라 할 수 있는 모태독성학(Maternal Fetal Toxicology) 초판이 발간되었다. 이어서 2016년에 2판을 출간하였고, 이번 2022년 3판을 출간하고 있다.
대략 5년 주기로 업데이트를 하고 있는데, 이번 개정판에서는 코로나 19 팬데믹에 관해 먼저 이야기 하지 않을 수 없다. COVID-19통계에 의하면 2022년 8월 17일 오늘 전세계적으로 확진자는 5.9억명 사망자는 644만명, 국내 확진자는 2,170만명, 사망자는 25,752명이다. COVID-19가
우리의 평온한 일상뿐만 아니라 과학계, 의료계에도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모태독성학분야에서도 특히 호흡기 감염병에 취약한 임신부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다행히 COVID-19와 백신이 선천성기형을 증가시킨다는 뚜렷한 증거가 없음이 그나마 다행으로 여겨진다.
이번 3판에서는 당연히 COVID-19와 임신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임신부에서 약물관련하여서는 2판에서 미국 FDA의 임신부 약물등급 A, B, C, D. X의 폐기가 주 이슈였다면 이번 3판에서는 여드름약으로 가임기여성들의 처방빈도가 높고 기형유발성이 높은 이소트레티노인의
임신예방프로그램인 RMP가 2019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해 국내 도입되었지만 Non-compliance로 여전히 많은 임신부들이 노출되고 있다는 것이 중요 이슈가 되고 있다. 또한, 국내 초저출산과 맞물려 임신부의 유해환경으로 음주, 흡연, 방사능물질 그리고 환경호르몬이
고전적이면서 다빈도 이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만혼에 따른 고령임신과 태아이상을 위한 염색체 및 유전자이상을 스크린하고 진단하기 위한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반의 염색체 NIPT와 최근 임상에서 검사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검사(CMA)에 관한
업데이트가 포함되었다.
또한, 영국의 역학자 Barker의 이론인 FOAD (fetal origin of adult disease)에 근거한 예비임신부의 관리는 지역기반으로 2017년부터 서울시의 4개지자체에서 시범사업 후 2021년부터는 서울시 25개지자체로 확대하여 매년 임신을 준비하는 가임남녀 1만명이상에게 설문과 Lab. 검사를 통한
위험요인평가와 상담 그리고 전문기관연계를 진행하고 있다. 여성 참여자의 30%정도가 35세이상으로 고령임신 고위험군일 뿐만 아니라 난임 위험군에 속해 있는 상태여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임신부 및 모유수유부의 약물 등의 위험요인 노출에 관한 콜센터(☎1588-7309) 운영은 2010년부터 2022년까지 13년째 수행하고 있다. 현재 중앙콜센터는 서울의 국립중앙의료원에 있으며 거점지역센터로 부산, 대전, 광주, 대구, 울산에 있어서 네트워크화 되어 온·오프라인 정보 제공을
하고 있다. 2021년에는 18,000건의 콜이 있었다. 2022년에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콜이 더욱 늘어 3만건정도로 예상되고 있다. 이번 3판에는 콜 데이터와 관련하여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신부, 모유수유부의 약물, 한약 등의 evidence의 업데이트를 진행하였다. 이소트레티노인의
경우 매년 국회 국정감사에서 이슈가 될 정도로 중요기형유발물질로 본 센터에서 모니터링을 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2010년부터 임신부 이소트레티노인 상담 콜 건수가 거의 2천건 정도이다. 이들 중 50%이상이 인공임신중절을 선택한다는 점에서는 매우
심각한 지경이다.
또한, 국가기관에서 승인된 가습기살균제임에도 지난 10여년전 이를 사용했던 상당수의 임신부 및 영유아의 희생을 보면서 더 이상 이런 사건이 생기지 않도록 양호한 임신 및 육아환경을 조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센터에서는 2020년부터 특허청에서 TwoSafe®
상표 승인을 받아서 임산부들이 사용하는 영양제 및 화장품 등을 Peer review 평가를 통해 임산부 영유아 안전제품 제공을 위해 기업들에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번 3판에서 인체위해평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이번 3판에서 다루지 못하고 향후 5년 후 다루어야 할 내용으로
남겨둘 수 밖에 없는 내용들로는 2019년 4월 낙태죄폐지로 촉발된 인공임신중절약 미프진의 안전 및 생식독성 이슈, 그리고 2021년 12월 국회에서 통과되고 2023. 1월부터 시행될 근로자들의 태아산재보상보험법에 관한 유산, 조산, 사산, 그리고 선천성기형에 대한 이슈를 남겨두고 있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Barker의 이론인 FOAD에 대한 evidence를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아이의 출산을 돕고, 잘못된 정보 misinformation으로 인한 잘못된 오해 misperception으로부터 보다 많은 태아가 세상의 밝은 빛을 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
- 목차 -
PART 1.전임상에서 기형발생평가 및 연구
01장. 실험동물에서의 기형유발물질평가
02장. 동물에서 기형유발물질 연구
03장. 동물에서의 신경독성 및 행동발달 연구
04장. 기형발생 예방물질 연구
05장. 기형발생의 독성발현경로
06장. 화장품의 위해성 평가
PART 2. 태아기형발생물질
01장. 기형학의 원칙
02장. 배아의 정상 발생
03장. 임신 중 약동학의 변화
04장. 태아기형유발물질의 상담
05장. 임부금기 의약품 적정사용(DUR) 정보의 개발 및 제공
06장. 임산부에서 약물의 안전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FDA New Labeling
PART 3. 임신부에서 약물사용
01장. 임신 중 안전한 약물사용
02장. 임신부에서 입덧
03장. 임신부에서 치과치료
04장. 피임약의 태아기형유발성 및 상담
05장. 임산부에서 우울증 선별 및 진단, 항우울제 사용
06장. 임신부에서 비타민 A계 약물의 기형유발성
07장. 이소트레티노인 위해성관리계획(Risk Management Plan)
08장. 임신부에서 항전간제 사용과 태아기형
09장. 임신부의 항응고 요법
10장. 임신부에서 암진단과 항암제 사용
11장. 임신부에서 면역억제제 사용
12장. 임신부에서 조기진통억제제의 안정성
13장. 임신부에서 황산마그네슘의 안정성
14장. 임신부에서 유산방지제의 효과 및 안정성
15장. 기형유발성으로 인한 헌혈금지약물과 임상경험
16장. 유행성바이러스질환과 임신
17장. COVID-19와 임신
PART 4. 임신부에서 케미칼과 물리적 인자들
01장. 태아알코올스펙트럼장애
02장. 우리나라의 태아알코올스펙트럼장애 현황
03장. 임신부 및 태아의 알코올 노출 바이오마커
04장. 후성유전학과 태아프로그래밍
05장. 흡연과 임신
06장. 임신부에서 담배노출의 바이오마커
07장. 임신과 한약
08장. 환경호르몬과 임신
09장. 마약류가 태아에 미치는 영향
10장. 면역독성: 알레르기질환의 발생
11장. 직장에서 화학물 노출이 임신결과에 미치는 영향
12장. 독성중금속(수은,납) 노출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
13장. Hyperthermia가 태아에 미치는 영향
14장. 방사선과 임신
15장. 방사성핵종(Radionuclide)과 임신
16장. MRI와 임신
PART 5. 예비임신부 및 임신부 관리
01장. 임신과 엽산
02장. 가임여성의 엽산복용실태
03장. 예비 임신부의 관리(Preconception care)
04장. 남성의 임신전관리
05장. 항암제와 가임보존
06장. 보조생식술과 기형발생: 연관성 있는가?
07장. 태아의 발달위험과 관련된 모체질환
08장. 임신부의 산전 진단
09장. 게놈(genome)시대의 산전진단
PART 6. 모유수유와 약물
01장. 모유수유의 장점
02장. 모유수유 중 약물 및 케미칼
03장. 모유수유 중 질환
PART 7. 기형유발물질정보서비스 -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01장. 기형유발물질정보서비스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02장. 인공임신중절예방을 위한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운영에 따른 비용-편익
03장. 중앙모자의료센터
04장. 임신부 및 수유부의 다빈도 노출약물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