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BRYAN E. BLEDSOE, DO, FACEP, FAAEM, EMT-P
ROBERT S. PORTER, MA, EMT-P
RICHARD A. CHERRY, MS, EMT-P
역자
위원장
서경희
편집위원
곽은주 김지희 김진회 문준동 민경훈 박진옥 이동필 전소연 정형근 탁양주
옮긴이
강광순 외
머리말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출범은 1994년 12월 국회에서 통과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전에 응
급의학과 레지던트 과정을 미리 운영하면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를 무에서 유로 성장시킨 현재의 응급의학회가 응급
의료에서의 주요인력으로 응급구조사라는 새로운 응급의료인을 제안하였다. 자연발생적 병원전 의료인력으로 성장한
미국의 EMT-Paramedic이 수십 년의 기간에 걸쳐서 만들어진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법률에 의해 새로운 의료인력이
탄생했는데 바로 1급 응급구조사이다.
우리나라 전문응급구조사 교육은 전문대학에서 출발했고 지금은 4년제 응급구조학과가 과반수 이상에 달한다. 또한
응급구조학 석사가 배출되고 있고, 타 학문인 의학, 보건학 혹은 인문학 영역에서 전문응급구조사들이 박사학위를 수여
받고 있으며 조만간 응급구조학 박사가 배출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지고 있다.
응급구조학의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은 축하할 일이다. 이러한 성장에 걸맞는 우리 고유의 교과서가 나오길 기대하
면서 4번째 내과전문응급처치학이 번역본으로써 출판된다. 번역본으로 교과서 삼아야 하는 것이 현실이지만 한국의 응
급구조학 고유 지식체를 바탕으로 하여 응급구조학과 학생을 위한 교과서 집필이 가능해질 때까지의 중간과정에서 거
쳐야 할 단계라고 생각한다.
2012년, 2013년 Brady'의 교과서가 3판 5권에서 미국응급구조사의 표준교육과정(National EMS Education Standards
and the accompanying Paramedic Instructional Guidelines)에 따라 4판 7권으로 권수가 확장되었다. 이 책은 4권인
Paramedic Care: Principles and Practice - Medicine을 번역한 것이다.
3판 교과서와 비교해 보면 각 장별로 업그레이드된 내용이 추가되어 있고, 부인과응급, 산과응급, 환경응급이 특수응
급처치학으로 옮겨가고, 근골격계 응급에서 내과영역과 이비인후과 응급처치가 새로 추가되었다 . 이 교과서는 내과응
급상황에서 전문응급구조사가 취해야 할 업무 수행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히 구급출동요청이나 응급의료기관을 방문하
는 응급환자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호흡 및 심장혈관계 응급에 많은 비중을 두고 저술되어 있다. 또한 병원 전
응급상황에서 전문응급구조사들이 많이 접하는 신경학, 내분비학, 면역학, 위장관계학, 비뇨기학 및 신장학, 독성학과 약
물남용, 혈액학, 감염병과 패혈증, 정신질환 및 행동장애, 이비인후과질환, 비외상성 근골격계 장애 응급처치가 포함되
어 있다.
이 책이 응급구조사에게는 살아 있는 주 참고자료가 되고,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에게는 기본교재로 활용되어 병태생
리학적 변화가 삶과 죽음을 결정짓는 내과의학 지식을 충실히 익힘으로써 전문응급구조사가 된 후 응급상황에서 환자
의 생명을 보호하기 바란다.
이 책을 번역해준 응급구조학과 교수님들과 의과대학 응급의학과 교수님들께 감사드리며, 이 책을 출간하는 데 애정
을 갖고 출판해준 도서출판 한미의학 이광재 대표님과 편집부 직원 모두에게 감사의 말씀드린다.
2014년 2월
옮긴이 대표 서 경 희
<목차>
1장 호흡기학 1 8장 독성학과 약물남용 417
개요 4 개요 419
해부 및 생리 4 역학 420
상기도 해부 4 중독관리센터 420
하기도 해부 7 독성 노출의 경로 421
생리적 과정 9 섭취 421
병태생리 16 흡입 421
환기장애 16 표면흡수 422
확산장애 18 주사 422
관류장애 18 독성학적 평가와 처치의 일반 원칙 422
호흡기계통의 평가 18 현장평가 422
현장평가 18 일차평가 423
일차평가 19 이차평가 423
이차평가 21 처치 423
호흡기질환의 응급처치 31 자살기도 환자와 보호 구금 424
응급처치 원칙 31 음독 424
호흡기질환 각론 32 독소의 흡입 427
상기도막힘 32 독소의 표면흡수 428
비심인성 폐부종/성인호흡곤란증후군 34 특정 독소 428
폐쇄성폐질환 37 일산화탄소 430
폐기종 38 시안화물 438
만성기관지염 40 심장약 441
천식 41 부식성 물질 441
상기도감염 47 불화수소산 444
폐렴 48 알코올 445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50 탄화수소류 445
폐암 51 삼환계 항우울제 445
독소 흡입 52 MAO 억제제 447
일산화탄소 흡입 53 새로 나온 항우울제 447
폐색전증 55 리튬 448
자연공기가슴증 56 살리실산 450
과다호흡증후군 57 아세트아미노펜 451
중추신경계 기능장애 58 기타 무처방 통증치료제 451
척수, 신경 혹은 호흡근육의 장애 58 테오필린 451
금속 453
2장 심장학 63 오염된 음식 454
개요 67 독성 식물 및 버섯류 455
제1부: 심혈관계 해부, 생리, 심전도 감시와 부정맥 분석 68 주입된 독소들 455
심혈관계 해부 68 일반적인 응급처치 원칙 455
심장 해부 68 물린 상처와 쏘인 상처 456
말초순환 해부학 73 뱀에 물린 상처 460
순환생리 74 해양동물에 의한 중독 463
심장주기 74 시구아테라중독 463
심장의 신경조절 77 물질남용과 과량투여 464
내분비기관인 심장 80 남용되는 약물 465
전해질의 역할 80 알코올남용 468
전기생리 81 생리적 효과 468
심전도감시 85 알코올중독자의 전반적인 모습 469
심전도 86 만성적 알코올 섭취의 결과 469
심전도와 심장의 전기적 발생과의 연관성 89
심전도기록지 판독 95 9장 혈액학 475
부정맥 97 개요 477
자극 형성의 기전 97 해부, 생리, 그리고 병태생리 478
부정맥의 분류 98 혈액의 구성요소 478
굴심방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98 지혈 485
심방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105 혈액제제와 혈액형 488
방실접합부 내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114 수혈반응 489
방실접합부에서 지속되거나 발생하는 부정맥 120 일반적 평가와 처치 490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124 현장평가 490
무맥성 전기활동 137 일차평가 490
전도장애로부터 발생하는 부정맥 138 이차평가 490
심전도에 변화를 주는 전해질 이상과 체온저하 140 조혈 응급상황의 일반적인 처치 494
제2부: 심혈관질환자에 대한 평가 및 처치 143 특수 환자 문제 관리 494
심혈관질환자에 대한 평가 143 적혈구질환 494
현장평가와 초기평가 143 백혈구질환 497
병력 144 혈소판질환/비정상적인 혈액응고 499
신체검진 147 기타 조혈장애 501
심혈관 응급의 처치 150
기본심폐소생술 150 10장 감염병과 패혈증 505
전문심폐소생술 150 개요 508
현장에서의 심전도 감시 151 공중보건 원리 508
미주신경흥분수기 154 공중보건기관 509
전흉부타격 154 미생물 509
약물처치 155 세균 510
제세동 159 바이러스 511
응급 동시성 심장율동전환 160 기타 미생물들 511
경피적 심박조율 160 발병, 감염과 질환의 단계 513
목동맥굴 마사지 163 감염 과정의 단계 515
지지와 의사소통 167 질환에 대한 신체의 방어 515
각 심혈관계 응급질환의 치료 167 면역계 516
급성관상동맥증후군 170 보체계 517
협심증 171 림프계 517
심근경색증 174 개인 숙주면역 518
심장눌림증 188 병원 전 단계 처치에서의 감염관리 518
고혈압성 응급 190 대응 준비 519
심장성쇼크 192 대응 520
심장정지 195 환자와의 접촉 520
말초혈관계 응급 및 기타 심혈관계 응급 201 회복 522
제3부: 12유도 심전도 감시와 해석 206 감염병 노출 524
심장자극전도계 분석 206 감염질환자에 대한 평가 525
심전도 기록 206 과거병력 525
심전도 유도 208 신체검진 526
양극팔다리유도 210 특정 감염병 526
단극팔다리유도 또는 증폭팔다리유도 210 응급구조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질환 526
전흉부유도(심장앞유도) 211 호흡기의 다른 감염상태 547
평균 QRS축 결정 212 소화기계통 감염 549
축편위 212 신경계 감염 551
정상 12유도 심전도 214 성매개질환 555
질환에 대한 소견 215 피부질환 560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진행 과정 217 빈대 562
급성심근경색의 위치 220 병원내 감염 562
오른심실경색 224 환자 교육 562
전도장애 229 질환 전파의 예방 563
방실차단 229 패혈증/전신염증반응증후군(SIRS) 564
다발갈래차단 230
심방실확장 234 11장 정신질환 및 행동장애 571
병원 전 심전도 감시 239 개요 574
병원 전 12유도 심전도 감시 239 행동응급 574
정신과적 장애의 병태생리 574
생물학적 원인 575
3장 신경학 249 정신사회적 원인 575
개요 252 사회문화적 원인 576
해부 및 생리 252 행동응급환자의 평가 576
중추신경계 253 현장평가 576
말초신경계 260 일차평가 576
자율신경계 262 이차평가 577
병태생리 262 정신상태검진 578
인지계의 변화 262 정신의학 약물 579
중추신경계의 장애 262 정신장애 각론 579
대뇌 항상성 263 인지장애 580
말초신경계 장애 263 정신분열증 580
자율신경계 장애 264 불안과 불안 관련 장애 581
일반적인 평가 264 기분장애 582
현장평가와 일차평가 264 물질남용과 관련된 장애 584
이차평가 265 신체형장애 585
이송 중 평가 272 인위장애 585
신경계 응급 환자에 대한 처치 272 해리장애 585
의식의 변화 272 섭식장애 586
뇌졸중 및 뇌출혈 274 인격장애 586
발작과 간질 280 충동조절장애 587
실신 285 자살 588
두통 285 연령과 관련된 상황 589
뇌신경장애 287 흥분섬망 590
허약감과 현기증 288 행동응급 환자의 처치 590
신생물 289 전기충격 환자 590
뇌농양 291 내과적 관리 592
퇴행성 신경질환과 치매 291 정신과적 관리 592
요통과 비외상성 척추질환 295 난폭한 환자와 그에 대한 억제 593
억제의 방법 594
4장 내분비학 303
개요 305 12장 눈, 귀, 코, 목의 질환 601
해부 및 생리 306 개요 603
시상하부 306 눈 603
뇌하수체 310 눈의 해부학적 구조 603
갑상샘 311 눈의 의학적 질환 604
부갑상샘 311 귀 610
가슴샘 312 귀의 해부학적 구조 610
이자 312 귀의 의학적 질환 611
부신 313 코 614
생식샘 314 코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구조 614
솔방울샘 315 코의 의학적 질환 615
내분비작용과 관계되는 다른 기관들 315 목 617
내분비계 장애와 응급 316 입과 목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구조 618
이자장애 316 입과 목의 의학적 질환 620
갑상샘기능장애 327
부신장애 329 13장 비외상성 근골격계 장애 627
개요 629
5장 면역학 335 해부학과 생리학 629
개요 337 뼈대계(골격계) 629
병태생리 337 근육계 631
면역계 337 평가와 결과 633
알레르기 339 비외상성 근골격계 장애 634
아나필락시스 341 운동과다/반복-동작장애 635
아나필락시스의 평가 소견 343 퇴행성 질환 636
아나필락시스 처치 344 염증성 질환 638
기도 관리 345 감염성 질환 640
약물 투여 345 신생물 과정 643
심리적인 지지 제공 348 만성통증증후군 644
알레르기 반응의 평가 소견 348 소아과 질환 645
알레르기 반응의 처치 348
환자 교육 349 부록 A 혈액매개성 병원체와 감염질환에 대한 예방조치:미국 649
6장 위장관계학 353 부록 B “현장출동 후 결과 분석”의 제시 답안 652
개요 355
일반적인 병태생리, 평가, 치료법 355 부록 C 복습문제 답안 663
일반적인 병태생리 356
일반적 평가 356 부록 D 핵심용어 665
일반적인 치료 360
특정 질환들 360 부록 E 찾아보기 687
상부위장관질환 360
하부위장관질환 368
기타 부속기관질환 376
7장 비뇨기학 및 신장학 385
개요 387
해부 및 생리 388
콩팥 388
요관 393
방광 393
요도 393
고환 393
부고환과 정관 393
전립샘 394
음경 394
비외상성 조직 문제의 일반적 기전 394
일반적 병태생리, 평가 및 처치 395
통증의 병태생리적 기초 395
평가 및 응급처치 395
콩팥과 비뇨기 응급 399
급성콩팥기능상실 400
만성콩팥기능상실 404
콩팥결석 409
고환꼬임 411
요로감염 412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